본문 바로가기

정보

주휴수당 지급조건 계산법 계산기

아르바이트를 할 때 내가 실질적으로 일한 시간 외에 주어지는 주휴수당은 어떻게 받을 수 있는 것인지

의미와 계산법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55조를 기준으로 1주일 동안 개근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수당입니다.

계약상으로 정한 1주일 근로일수를 개근하면 주어지는 유급휴일을 주휴일이라 합니다.

주휴일에는 일을 하지 않아도 하루치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근이란 근로계약서상 결근 등 사유가 없다는 뜻입니다.

2. 주휴수당 지급조건

주휴수당은 모든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아래와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만 합니다.

  •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 4주 평균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 근로 계약 시 정한 1주간의 소정근로일을 개근
  • 40시간 기준으로 적용

3. 주휴수당 미지급

주휴수당 미지급 대상이 있습니다.

  • 근무자의 근로기간이 1주일이 되지 않을 때
  • 근로 계약 시 정한 1주간의 소정근로일에 한 번이라도 결근했을 때
  • 주 15시간 미만 근무 했을 때

소정근로일을 개근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지만

조퇴나 지각은 결근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계약서상 근무가 주 15시간 미만인데 대타 등으로 15시간 이상이 되었을 때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4. 주휴수당 계산방법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1일 소정근로시간 x시급

 

하지만 일일이 계산할 필요 없이 정확하게 주휴수당계산기로 간편 계산이 가능합니다

 

위 배너는 네이버 주휴수당계산기로 이동하여 빠른 계산을 도와줍니다.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휴수당 계산기

 

고정 근무를 하는 경우에는 한 주의 근무시간을 넣어서 계산하면 되고

선택 근무를 하는 경우에는 1주에 일하는 시간과 일수를 넣으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