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40대 50대 60대 평균자산, 순자산이란?

돈을 모으다 보면 내가 모은 돈이 나이대 평균인지, 많은 건지 적은 건지 궁금해집니다.

그렇다면 40대 50대 60대의 평균자산은 어떻게 될까요?

평균자산은 순자산으로 계산하여 평균치를 알려드립니다.

 

순자산

순자산은 총자산인 금융자산과 실물자산에서 빚을 뺀 자산입니다.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현금, 예금, 주식, 채권 등을 말하며 바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입니다.

 

실물자산

실물자산은 토지, 주택, 자동차, 보석, 금, 예술품 등을 말합니다.

또한 자산을 계산할때 주택이나 토지는 공시지가 기준이 아닌 실거래가 기준입니다.

예를 하나 들면, 주택을 10억에 구매했고 6억이 대출이라면 자산은 4억입니다.

 

자산 순위

2022년 초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상위 0.1% 76억 8천만 원

상위 1% 29억 2천만 원

10억 이상 상위 11.4%

5억 이상 상위 29.4%

3억 이상 상위 45%

 

나이별 평균자산은 서울, 수도권과 지방의 경우 차이가 납니다

서울, 수도권은 전국 평균치보다 높으며, 지방은 전국 평균치보다 낮습니다.

 

40대 평균자산 (전국)

2억 9천만 원

 

50대 평균자산 (전국)

12억 5천만 원

 

60대 평균자산 (전국)

13억 2천만 원

평균 자산의 함정

우리나라 40대 50대 60대 평균자산의 대부분은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노년기에 들어갈수록 예상 못한 상황(병, 자녀 사업실패 등)에 큰돈이 필요하다면

부동산은 바로 현금화하기 어려워 부동산 자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되기 쉽습니다.

 

세금, 건강보험료, 생활비, 품위유지비 등 지출은 꾸준히 발생하고

부동산으로 인한 (임대가 아닌 이상) 자산은 노년기에 현금화하기 어렵기에

매달 쓸 수 있는 현금 흐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